BEng(Hons) Birmingham MSc Warwick EdD Warwick Cert Oxford
Email: ckjung@inu.ac.kr
⊙ 교육보국(敎育報國). 교육을 통해 나라를 발전시킨다.
독립유공자 정갑권(애국지사, 대통령표창,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 안장)의 손자.
국가유공자 정두용(육군장교, 화랑무공훈장, 국립대전현충원 장교묘역 안장)의 조카.
국가유공자 김연호(소방대원, 대통령표창, 국립대전현충원 경찰묘역 안장)의 처손자.
⊙ 1972년, 경기도 부천(부천북초, 부천동중, 부천 정명고). 현역만기제대(육군병장).
영국 버밍엄대(공학학사), 영국 워릭대(이학석사), 워릭대(교육학박사).
버밍엄대 한인학생회 부회장, 워릭대 한인학생회 회장, 영국 코벤트리 한인회 회장.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 선임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국무총리실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
영어시험출제연구실, 영어교육센터, 임용시험센터, 교육과정·교과서본부 교육과정연구실, 교육평가
본부 부연구위원. 대통령 직속 제1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립인천대학교
교수동호회 <인문예동> 설립자 및 초대 회장, 인천광역시 연수구청 '정채관 교수와 신나는 영어
산책' TV프로그램 진행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자문위원, 한국법제연구원 자문위원,
인천광역시교육청 자문위원 등
⊙ 현재 국립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19.09~현재),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소장
('20.01~현재), 영어말하기쓰기센터 책임교수('22.01~현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
('21.03~현재), 인천학회 교육위원회 위원장('19.09~현재), 인천지방검찰청 검찰시민위원회 위원
('21.07~현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22.02~현재),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센터
자문위원('22.03~현재),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자문위원('22.10~현재),
인천광역시교육청 동아시아국제교육원 자문위원('22.07~현재), 국제학술지 Asia Pacific Journal
of Corpus Research
02. 교육 및 연구 분야
⊙ 코퍼스영어학(언어 빅데이터 구축·분석·연구), 컴퓨터보조번역(인공지능번역), 영어 교재 및 교육
과정 개발, 특수목적영어(공학영어, 법학영어, 의학 영어, 바이오 영어 등), 영어 평가(영어시험
출제 및 채점), 북한 교육정책 및 영어교육 등.
03. 주요 경력
- 인사혁신처 공무원 선발시험 시험위원
- 인천광역시교육청 시민소통참여단 학부모위원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
-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센터 학과(전공)분류 자문위원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인문학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과제 평가 평가위원-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2022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 연차평가평가위원
-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정책연구 과제개발 검토위원
- 인천광역시교육청 제2기 교육감 공약(AI 외국어 교육시스템 개발) 실천계획 수립 자문위원
-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서울시민대학 종합계획(2023-2027) 수립 연구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 과제 평가위원
- 세종시교육청 2022년 교육회복 학교현장지원단 전문가위원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과 학습(영어),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대학생 튜터링)
- 한국법제연구원 위탁과제 자문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2년AI바우처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발표평가
평가위원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2년AI바우처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평가
평가위원장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교육연수과정(콘텐츠) 내용 심사위원
- 인천지방검찰청 검찰시민위원회 위원-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 한국법제연구원 법령번역센터 법령번역사업 자문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도 독학학위제 시험의 출제 개선 방안 자문위원-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묶음 및 K-MOOC+선정평가 평가위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교육연수과정(콘텐츠) 내용 심사위원- **청 전국 **공무원 신규채용시험 출제문제 선정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 평가위원회평가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1년 AI바우처 지원사업 선정 서면평가 평가위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1년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인프라기업) 선정평가 평가위원장
- 인천광역시인재개발원 2021년도 장기교육과정 영어강사 선발 면접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신규 강좌 선정평가
지표 검토위원회 검토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년 글로벌 SaaS 육성프로젝트(GSIP) 지원과제결과평가 평가위원장-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영어마을 운영 민간위탁적격자 심사위원회 심사위원-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운영사업 인공지능(AI)분야 지정공모 평가위원-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관세청·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년 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 시스템 구축
지원기업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연차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방송공사 EBSe를 통한 초등 5학년 영어 교과서기반 멀티콘텐츠 개발·보급
위탁기관 선정평가 평가위원
- 해양경찰청 일반임기제 5급(통번역) 경력경쟁채용 면접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2단계 무크 선도대학
선정평가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년 글로벌 SaaS 육성프로젝트 핵심전환형
지원과제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국립인천대학교 신입생 기초학습능력 평가(영어) 출제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혁신성장 인재양성 기관선정 '빅데이터' 분야
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인천광역시 2020년 인천광역시 청내 외국어 학습과정 운영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 콘텐츠 내용 심사 심사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9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정책 연구 용역
기술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9 전국학부모지원센터 운영사업 제안서 평가 평가위원장
- 교육부·한국교육방송공사 EBSe를 통한 초등 4학년 영어 교과서기반 멀티콘텐츠 개발·보급 위탁
기관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콘텐츠 개발 사업 제안서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임기제공무원 근무성적평가위원회 외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방송공사 EBSe를 통한 초등 3학년 영어 교과서기반 멀티콘텐츠 개발·보급 위탁
기관 선정평가 평가위원
- **청 전국 **공무원 신규채용 선발시험 문제선정 및 검토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I 교과서
검정심의위원회 간사
-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구조개혁평가 후속 점검 점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신입생 선발고사 기획위원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초졸·중졸학력·고졸학력 검정고시 기획위원
- 인천광역시 인천영어마을 민간위탁 적격자 심사위원회 심사위원장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립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유치원·초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기획위원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중등교사 임용시험 채점본부 평가위원 등.
04. 국내 및 해외 주요 연구 과제 수행 경력(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059)
058)
057)
056)
055) 이러닝 강좌 신규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4) 미국법령(USC)의 핵심어 콜로케이트와 클러스터 코퍼스 분석(한국법제연구원, 공동연구원)
053) 연구소 발전계획 수립 지원사업(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2) 인문대학 연구촉진 지원사업 연구소연구지원 <학제간 디지털 인문 융합 코퍼스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1) 코퍼스 기반 영문법 교수학습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0) 교수 역량 강화 및 교수 지원 프로그램 환류를 위한 교수 지원 체제 구축 고도화 연구
국립인천대학교, 공동연구원)
049)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해외 MOOC 동향 및 학습자 지원 정책 조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책임자)
![]()
048) 2021년 기초학습 온라인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 <당신의 영문법은 안녕하십니까?>
(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7) 2021년 국립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성화 및 대학정책 연구지원 사업 <영어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발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6)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쟁점 사항 및 방향(한국영어교육학회, 연구책임자)045) 독학학위제 시험의 출제 개선방안 연구(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책임자)
044) 대학혁신지원사업 2021 Nano Degree 교육과정: 컴퓨터 보조 번역 전문가 과정
(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3) 아동문학 분석을 통한 다독의 유용성 탐색(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2) 국제조약 상용어구에 대한 코퍼스 분석(한국법제연구원, 공동연구원)
041) 2020학년도 2학기『교수-학생 전공심화 연구모임』 코퍼스연구그룹(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0) 김정은 시대 북한의 고등교육 대학 영어(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9) 대학혁신지원사업 2020 Nano Degree 교육과정: 컴퓨터 보조 번역 교육 실무 및 응용
(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8) 영미권 아동 영문학 코퍼스를 활용한 영미 문화 이해와 영어교육 방안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7) 2019-2020 국립인천대학교 융합연구단 지원사업: 영문학과 문화예술 속에 묘사된 바이오
기술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6) 대학혁신지원사업 2019 Nano Degree 교육과정: 컴퓨터 보조 번역 교육 실무
(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5)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한 영어교육 상호협력 방안 탐색(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4) 남북 영어교육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3)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학생평가 개선 방안(대구광역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32)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 평가 방안 탐색(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31) 학생평가 컨설팅 지원(전라북도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30)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8 본검사 시행 및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교육부, 공동연구원)
029) 2018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ICILS(세종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2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교육부, 공동연구원)
027) 2017년 교과용도서 검정(교육부, 공동연구원)
026) KICE 연구 성과 분석을 통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의 현황 진단과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25) 2017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 선발고사(전라북도교육청등 5개 교육청, 공동연구원)
024) 2017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TIMSS·ICILS(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23)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II) - 일반고를 중심으로(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22) 남북한 교육과정·교과서 비교를 통한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을 중심으로(교육부·통일연구원, 공동연구원)
021) 보완적 학력인정제도의 쟁점과 개선 방안 – 검정고시 과목 면제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과용도서 개발 및 검·인정 심사를 위한 어휘 사용 지침
적용 방안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개발
(한국학술정보원·교육부, 공동연구원)
018)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7년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출제 적용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책임자)
017) 2016년도 초졸·중졸·고졸 검정고시(충청남도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16) 김정은 체제 4년 평가 및 안정성과 정책 전망: 북한의 교육정책과 교육과정(통일연구원,
공동연구원)
015)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1)(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14)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3·4학년 학생들의 영어 기초 학습 능력 실태 조사
(세종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13) 북한이탈고등학생 영어학습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탐색(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책임자)
012) 2014년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 운영 지원(충청북도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11) 영어 쓰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III)(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10)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오류 특성(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책임자)
009)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3급 말하기 영역 및 쓰기 영역에서의 통합형 문항 유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08) 대학입시 전형 간소화 정책과 연계한 NEAT(2·3급) 개선 방안(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07) 2013학년도 중고등학생 영어듣기능력평가시험(인천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06) 2013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3급)(광주시교육청·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5)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말하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도입 방안(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04) 2012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3급)(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3) 2012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IBT 정보화(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2) 2012년 영어교사 평가전문가 양성(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1)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평가방법 개선 방안(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5. 국내 및 해외 주요 수상 경력
012) 2022년 국립인천대학교 학술연구상(2023.02.28)
011) 2020년 국립인천대학교 학술연구상(2021.02.28)
010) 충청북도지사 표창장(제1278호, 2018.09.28)
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우수과제포상(제2016-72호, 2016.12.30)
008) 한국코퍼스언어학회 공로상(2014.09.01)
007) Language Testing Research Colloquium (LTRC) 공로상 (2013.07.11.),
International
006) Writing Research Across Borders II Conference Travel Fellowship, International
005) British Association for Applied Linguistics (BAAL) UK Student Scholarship,
International (2009.09.03.)
004) University of Warwick (Graduate School) Conference Travel Grant, International
003) University of Warwick (Graduate School) Conference Travel Grant, International
002) University of Warwick (Centre for Applied Linguistics) Conference
Fnding, International
001) Warwick Retired Staff Association Bursary, International (2007.11.22)
- 국제학술지 Journal of Multiculture and Education 편집위원(2022~현재)
- 국제학술지 Corpora편집위원(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2~현재), International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2022~현재)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2021~현재)
- 한국영어학회 국제이사(2021~현재)
- 한국영어교육학회 코퍼스 SIG 대표(2021~현재)
- 국제학술지 Asia Pacific Journal of Corpus Research 편집위원장(2020~현재)
- 인천학회 교육위원회 위원장(2019~현재)
- 한국사전학회 한국사전학 편집위원(2019~현재)
- 국제학술지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부편집위원장
(한국영어학회, 2017~현재)
- 국제학술지 English Today 편집위원(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현재),
International
- Asia Pacific Corpus Linguistics Association 한국 대표(2012~현재), International
- 한국생성문법학회 국제화위원회 분과장(2018~현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연구이사(2020~2022)- 한국응용언어학회 연구이사(2019~2020)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학술이사(2019~2020)
- 한국사전학회 편집위원회 편집위원(2019~2020)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연구이사(2018~2020)
- 한국영어학회 총무이사(2018~2019)
- 한국영어학회 연구이사(2017~2018)
- 한국영어교육학회 연구이사(2016~2018)
- 한국영어학회 연구이사(2016~2017)
- 현대영어교육학회 학술이사(2015~2017)
- 한국코퍼스언어학회 학술이사(2015~2016)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연구이사(2013~2015)
- 한국응용언어학회 연구이사(2013~2014) 등.
07. 주요 저서 및 대한민국 정부 교육 정책 연구보고서
017) OOO, 정채관, OOO, OOO, OOO. (WIP). 세계 문화와 영어. 서울: 비상교육.
016) OOO, 정채관. (WIP). 코퍼스 언어학 연구.
015) 정채관, 권순학, 김보민, 김보라, 박시은, 박희양, 윤선경, 이태영, 전지혜, 정영옥, 채충만,
이완기, 홍선호. (2022). 우리들의 영국 유학기: 13인의 이야기. 서울: 부크크.
ISBN 979-11-372-7483-9, DOI: https://doi.org/10.979.11372/74839.
014) 정채관, 정영옥, Steve Mann, Fiona Copland, 김보민. (2021). 내 아이와 영어 산책:
영잘알 부모의 슬기로운 영어 공부법.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9-11-66850-23-3.
013) 정채관, 현성필. (2021).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SDL Trados Studio
입문. 인천: 인천대학교 출판부. ISBN 979-77-89007-23-2.
012) 정채관, 안계명(성호), 홍선호, 이완기, 심창용, 이재희, 김해동, 김명희, 김선웅. (2018).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영어교육.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8-89-6817-685-2.
![]()
011) 권혁승, 정채관, 김재훈. (2018). 코퍼스 언어학 기초.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8-89-
010) 권혁승, 정채관. (2016). 원자력 영어: 핵심 용어 및 실제 용례. 서울: 우리책. ISBN 978-89-
90392-61-9.
![]()
009) 정채관, 조윤동, 김기철, 박영수, 차조일, 김정효, 장근주, 윤현진. (2016). 2009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2017년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출제 적용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ISBN 979-11-5788-318-9.
008) 김기철, 조윤동, 박영수, 정채관, 김성기. (2016). 보완적 학력인정제도의 쟁점과 개선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ISBN 979-11-5788-319-6.
007) 주형미, 진경애, 김미경, 김성혜, 정채관, 박상복.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과용도서 개발 및 검/인정 심사를 위한 어휘 사용 지침 적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
006) 조정아, 이교덕, 강호제, 정채관. (2015).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서울: 통일연구원. ISBN 978-89-8479-819-9.
005) 정채관, 민호기, 박용효, 김소연. (2014). 북한이탈고등학생 영어학습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탐색.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ISBN 978-89-6687-901-4.
004) 성태제 외 공저(정채관). (2013). 2020 한국 초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ISBN 978-89-9970-193-1.
003) 정채관, 김준식, 배주경, 황필아. (2013).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오류 특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ISBN 978-89-6687-578-8.
002) 권혁승, 정채관. (2012). 코퍼스 언어학 입문.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8-89-5726-955-
001) 정채관. (2007). 한눈에 들어오는 이공계 영어 기술 글쓰기. 서울: 북코리아. ISBN 978-89-
.. .
. .
.
08. 국내 및 해외 주요 논문
038) Jung, C. K. (2022, SSCI, submitted).
037) 정채관. (2022, KCI). 코퍼스 기반 영미 아동청소년 영문학 공통핵심어 개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6(4), 271-301. https://doi.org/10.16933/sfle.2022.36.4.271
036) Jung, C. K. (2022, SCOPU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and learner corpora
research in Asia Pacific. Corpora 17(SI), 1-3. https://doi.org/10.3366/cor.2022.0243.
035) 정영옥, 정채관. (2022, KCI). 초등 영어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외국어교육연구, 36(1), 55-73. http://dx.doi.org/10.16933/sfle.2022.36.1.55
034) 정영옥. 정채관. (2021, KCI). 영미 아동 청소년 문학을 활용한 다독의 유용성 탐색:
옥스퍼드 리딩 트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7(4), 425-448.
https://doi.org/10.24159/joec.2021.27.4.425
033) 정채관. (2021, KCI).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 설계와 구축. 외국어교육연구,
35(3), 209-223.
http://dx.doi.org/10.16933/sfle.2021.35.3.209
032) 최은샘, 정채관. (2021, KCI). 영미 아동 모험 소설에 관한 코퍼스 분석 연구: 『보물섬』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 333-342.
https://doi.org/10.5392/JKCA.2021.21.01.333
031) 박현숙, 정채관. (2020, KCI). 2009/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의 연계성 분석. 외국어교육연구, 34(4), 179-202.
http://dx.doi.org/10.16933/sfle.2020.34.4.179
030) 정채관. (2020). 『Asia Pacific Journal of Corpus Research』 1권 1호의 연구 동향과
연구 방법에 관한 고찰. Asia Pacific Journal of Corpus Research, 1(1), 127-132.
https://doi.org/10.22925/APJCR.2020.1.1.127
029) 김태국, 정채관. (2020, KCI).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영어 어휘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인문학연구, 33, 317-338.
https://doi.org/10.31323/SH.2020.06.33.12
028) 정윤나, 정채관. (2020, KCI). 남북한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어휘 분석 연구: 코퍼스
접근. 중등영어교육, 13(2), 53-70. https://doi.org/10.20487/kase.13.2.20205.53
027) 정채관. (2020, KCI). 한국 예비 대학생의 영어 사용 특성 파악을 위한 구어 영어 학습자
코퍼스 구축에 관한 소고: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 34(2), 277-300.
https://doi.org/10.16933/sfle.2020.34.2.277
026) 진경애, 정채관. (2020, KCI).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영어 선행학습 실태 연구.
초등영어교육, 26(1), 83-107. https://doi.org/10.25231/pee.2020.26.1.83
025) 정채관. (2018, KCI).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2(4),
47-82. https://doi.org/10.16933/sfle.2018.32.4.47
024) 정채관, 권혁승. (2017, KCI).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어휘 및 외래어 목록
변화형 연구: 코퍼스적 접근. 외국어교육연구, 31(2), 175-201.
https://doi.org/10.16933/sfle.2017.31.2.175
023) 정채관, 박영수, 박혜영, 장근주. (2017, KCI).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2017년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출제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0(2), 42-69.
https://doi.org/10.29221/jce.2017.20.2.31
022) 정채관, 조정아. (2017, KCI). 김정은 체제 북한 중학교 교육과정 연구: 총론과 영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39, 147-166. https://doi.org/10.15755/jfs.2017..39.147
021) 정채관. (2016). 북한이탈청소년 영어 실태 및 지원 방안. 교육광장, 60, 40-43.
020) 김태국, 정채관. (2016, KCI). 교육적 코퍼스 활용에 관한 학습자의 태도 분석: 고등학생을
019) Ly, T. H., & Jung, C. K. (2015, SCOPUS). A corpus investiga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ute, pretty and beautiful. 3L: Language, Linguistics, Literature, 21(3),
018) Jong, Y. O., & Jung, C. K. (2015, SCOPUS). Pedagogical significance of
morphological awareness in Korean and English. English Language Teaching, 8(8),
79-93. https://doi.org/10.5539/elt.v8n8p79 , International.
017) Jong, Y. O., & Jung, C. K. (2015, SCOPUS). The development of interview
techniques in language studies: Facilitating the researchers’ views on interactive
encounters. English Language Teaching, 8(7),
30-39. https://doi.org/10.5539/elt.v8n7p30 , International.
016) 정채관, 김소연. (2015, KCI). 정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의 영어학습
실태연구. 외국학연구, 32, 65-88. https://doi.org/10.15755/jfs.2015..32.65
015) Ly, T. H., & Jung, C. K. (2015, KCI). Multimodal discourse: A visual design analysis
of two advertising ima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1(2), 50-56.
https://doi.org/10.5392/IJoC.2015.11.2.050 , International.
014) Jong, Y. O., & Jung, C. K. (2015, KCI).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013) Ly, T. H., & Jung, C. K. (2015, KCI). A comparison of the style and communicative
functionality of two newspaper articles: A Systemic Functional Grammar (SFG)
approach. Secondary English Education, 8(2), 25-48.
012) 이석재, 정채관. (2014, KCI). 한국 예비 대학생의 영어 사용 특성 파악을 위한 대규모 공개
영어 학습자 코퍼스 구축 및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1019-1029.
011) Crafer, A., & Jung, C. K. (2014, KCI). A corpus investigat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ink about and think of.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9(2), 337-
010) Jung, C. K. (2014, KCI candidate). What and when should children be taught about
the links between morphemes and spelling? Secondary English Education, 7(1),
009) Jung, C. K. (2013, KCI). Genre analysis: Undergraduate engineering laboratory
report (UELR).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29(3), 33-73.
008) O'Donoghue, J., & Jung, C. K. (2013, KCI). Corpus pedagogy: Analyzing corpus
use in the classroom and EFL business student attitudes towards corpora. English
Language Teaching, 25(3), 51-74.
007) Ly, T. H., & Jung, C. K. (2013, KCI candidate). An exploration of the mental lexicon of
Korean EFL learners. Secondary English Education, 6(2), 3-28.
006) Butterfield, A. L., & Jung, C. K. (2013, KCI). An hybrid approach to second language
writing.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12(1), 123-139.
005) Butterfield, A. L., & Jung, C. K. (2013, KCI candidate). Comparing news articles: Why
Breaking News English (BNE) may not be an authentic resource. Secondary English
004) Jung, C. K., & Wharton, S. (2012, KCI). Finding textual examples of genres:
Issues for corpus users.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003) Jung, C. K. (2009). BAAL 2008: A special report. The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Newsletter 2009, 38-40.
002) Jong, Y. O., & Jung, C. K. (2008). New horizons in linguistics: e-Research for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virtual environment. The EUROCALL Review, 13,
001) Jung, C. K. (2007). EUROCALL 2007: A conference report. IATEFL CALL Review.
09. 국내 및 해외 주요 학술대회 초청 발표
063) 정채관. (2023. 2월). 영국 랭카스터대 <코퍼스언어학> 온라인 공개강좌 결과 보고: 개괄
2023 한국영어교육학회 SIG 컨퍼런스. 한남대학교. 2023년 2월 4일.
062) 정채관, 정영옥. (2022. 10월). 중고등학생 진로 및 적성 개발을 위한 해외 온라인 공개강좌
(MOOC) 활용 방안 탐색. 2022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학술대회. 국립인천대학교.
2022년 10월 8일.
061) 정영옥, 정채관. (2021. 10월). 영어 원서 읽기를 통한 영어교육. 2021 한국초등영어교육
학회 워크숍 및 연례 학술대회. 온라인. 2021년 10월.
061) 정채관. (2021. 10월).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쟁점 사항 및 방향. 2021년
한국영어관련학술단체협의회(영단협) 1차 학술세미나. 온라인. 2021년 10월 1일.
060) 권혁승, 정채관. (2021, 7월). 국제조약의 상용어구 분석: 코퍼스언어학적 연구,
2021 서울 국제통번역포럼. 온라인. 2021년 7월 15일. International.
059) 정채관. (2020, 12월). 영어 영재교육의 동향 분석과 송도국제도시에서의 도입 가능성 탐색.
2020 인천학회 공동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LH 인천지역본부 및 온라인. 2020년 12월 10일.
058) Jung, C. K. & Cho, J. A. (2020, November).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y
Changes and University English in the Kim Jong-un Era(김정은 시대 북한의 고등교육
과정 정책 변화와 대학 영어. 2020 Asia Economic Community Forum. Sheraton Grand
Incheon, 5 November 2020. International.
057) Jung, C. K. (2020, October). An Introduction to WordSmith Tools: Personal
experience. 2020 ICR Research Method Seminar. Zoom Online. 1 October 2020.
International.
056) 김태국, 정채관. (2020, 9월). 평생학습과 검정고시 연계를 위한 초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영어 어휘 코퍼스 기반 분석. 2020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워크숍 및 연례학술대회.
온라인. 2020년 9월 19일.
055) Jung, C. K. (2020, July). A study on the use of biotechnology in English
literature. 2020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KATE)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Seoul,
Korea. 3 July 2020. International.
054) 정채관. (2020, 1월). 컴퓨터 보조 번역(CAT)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개발.
한국영어교육학회 SIG 학술대회. 춘천교육대학교, 2020년 1월 11일.
053) 정채관. (2019, 11월). 국내 오류분석 연구 동향. 2019년도 한국영어학회 가을 학술대회.
사이버한국외대 사이버관 3층, 2019년 11월 9일.
052) 정채관. (2019, 11월). 연구윤리교육: 2019년 교육부 미성년 공저자 논문 등 관련 특별감사
결과 요약. 2019년도 한국영어학회 가을 학술대회. 사이버한국외대 사이버관 3층 소강당,
2019년 11월 9일.
051) Jung, C. K. & Cho, J. A. (2019, November). Study on English Educ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Changes in English Policy and Recent Trends in North Korea
(남북한 영어교육 연구: 북한의 영어 정책 변화와 최근 동향). 2019 Asia Economic
Community Forum. Sheraton Grand Incheon, 7 November 2019. International.
050) 정채관. (2019, 5월). 연구윤리교육: 최근 연구윤리 부정 사례를 중심으로. 2019년도
한국영어학회 봄 학술대회. 광운대학교 참빛관 B101호, 2019년 5월 25일.
049) 김태국, 정채관. (2019, 5월). 코퍼스 기반 검정고시 영어 어휘 분석 연구. 2019년도
한국영어학회 봄 학술대회. 광운대학교 참빛관 B107호, 2019년 5월 25일.
048) 정채관. (2019, 2월). 4차 산업혁명 시대 남북한 공통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제안.
2019년 서울교대 창의인성언어교육센터 학술대회. 서울교육대학교 에듀웰센터 2층
컨벤션홀, 2019년 2월 8일.
047) 정채관. (2018, 11월). 영어 코퍼스 구축의 실제.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제5차 콜로퀴움.
인천대학교 인문대학 동시통역실(15호관 329호), 2018년 11월 8일.
046) 정채관. (2018, 10월). 4차 산업혁명 시대 중등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2018
한국영어학회 가을학술대회(동국대학교 문화관, 27 October 2018).
045) 정채관. (2018, 10월). 연구윤리: 2018 개정 연구윤리확보지침을 중심으로. 2018년도
한국영어학회 가을학술대회(동국대학교 문화관, 27 October 2018).
044) Jung, C. K., & Rhee, S. C. (2018. September). New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A Corpus Approach. 2018 Asia Pacific Corpus Linguistics
Conference, Takamatsu City, Japan, 17-19 September 2018. International.
043) 정채관. (2018, 6월). ESP 코퍼스 구축과 실제 적용. 2018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사무학과 ESP 코퍼스 구축 및 연구 세미나. 이화여자대학교 신세계관 312호, 2018년
6월 21일.
042) Jung, C. K. (2017, 11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영어과 교육과정과 영어교과서의 개발
방향. 한국이중언어학회-한국외대 외국어연구소 공동학술대회. 한국사이버외대, 2017년 11
18일.
041) 정윤나, 정채관. (2017, 10월). 남북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코퍼스 접근.
2017 한국영어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학술대회. 한양대학교, 2017년 10월 21일.
040) 정채관. (2017, 10월). 연구윤리교육. 2017 한국영어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학술대회. 한양대학교, 2017년 10월 21일.
039) Jung, C. K. (2017, April).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nglish National Curriculum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in Korea. 2017 KICE English Education Series 1,
10. (KICE, Korea. 21 April 2017)
038) Kwon, H. S., & Jung, C. K. (2017, January). Introduction to Nuclear English: Key
Terms and Real Examples. Proceedings of 2017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Special Interest Group (KATE SIG) Conference. (Yonsei University, Korea. 7
January 2017)
037) Jung, C. K. (2017, January). 2013 English National Curriculum & English Textbook in
North Korea. Proceedings of 2017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Special
Interest Group (KATE SIG) Conference. (Yonsei University, Korea. 7 January
2017)
036) Jung, C. K. (2016, October). English in North Korea: A corpus approach. The Third
Asia Pacific Corpus Linguistics Conference (APCLC). (Beihang Univerisity, China, 21-
23 October 2016). International.
035) Kim, T. K., & Jung, C. K. (2015, November). 전국 단위 영어시험 기출문제 코퍼스 활용: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2015 한국영어학회-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겨울 공동학술대회.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8 November 2015).
034) Jung, C. K. (2015, November). ‘남북한 사회통합 현안과 통일교육’에 관한 토론.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orea. 20 November 2015).
033) Jin, K. A., Lee, H. W., & Jung, C. K. (2015, October). Investig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ceding learning experiences and their basic
English ability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2015 British Council New Directions i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Quality and Consequence. (JW Marriott
Dongdaemun Square Seoul, Korea. 15-16 October 2015). International.
032) Jung, C. K., & Rhee, S. C. (2015, September). Corpus Linguistics and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Developing a corpus-based ESP materials design course
at the postgraduate level in Korea. 2015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ALAK) International Conference. (Chung-Ang University, Korea. 19 September 2015).
031) Jung, C. K. (2015, June). Corpus and English Language Teaching. 2015 IFLE
Conferenc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3 June 2015).
030) Jung, C. K., & Kim, S. Y. (2015, May).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an
high schools and English education. 2015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KASELL)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Joint
Conference. (Dongkuk University, 30 May 2015).
029) Jung, C. K. (2015, February). Corpus and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Round table discuss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February 2015).
028) Jung, C. K. (2015, January). Phraseological patterns in a large corpus of
biomedical articles by Saber, A.,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KATE)
SIG Conference: Corpus SIG.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0 January
2015).
027) Kim, T. K., & Jung, C. K. (2014, September). ESP Corpora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현장교사를 위한 특수목적 DIY 영어시험 기출문제 코퍼스 구축 및 활용방안).
2014 Korea Association of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KAMALL)
Conferenc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 September 2014).
026) O'Donoghue, J., & Jung, C. K. (2014, July). Corpus pedagogy: Analysing EFL
business student attitudes towards corpora. 11th Teaching and Language Corpora
Conference (TaLC). (Lancaster University, UK, 20-23 July 2014). International.
025) Rhee, S. C., & Jung, C. K. (2014, May). Error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spoken corpus) 오류 분석 및
활용 방안: 동사 뒤에 나오는 전치사를 중심으로). 2014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KASELL)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Joint Conference, 39-41. (Seoul National University, 31 May 2014).
024) Jung, C. K. (2014, May). 코퍼스를 활용한 자료주도 영어학습. 2014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KASELL)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Joint Conference, 81-83. (Seoul National University, 31
May 2014).
023) Jung, C. K., Kim, J. S., Pae, J. K., Hwang, P. A., Rhee, S. C. (2014, March). A
corpus-based error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poken English.
Paper will be presented at 2014 Asia Pacific Corpus Linguistics Conference
(APCLC),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Hong Kong. 7-9 March 2014).
International.
022) 정채관, 배주경, 이석재. (2014, 2월).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 구어 텍스트 코퍼스
오류 분석: 동사 오류를 중심으로. 2014 한국언어과학회 겨울학술대회, 153-154.
부경대학교. 2014년 2 20일.
021) 김태국, 정채관. (2014. 2월). 영어시험 기출문제 코퍼스 구축 및 분석: 탈어휘 동사
(delexicalized verb)를 중심으로. 2014 한국언어과학회 겨울학술대회, 123. 부경대학교.
2014년 2월 20일.
020) 김소연, 김준식, 정채관. (2014년 2월). 문화 이해와 인성 계발을 위한 영어 수업 연구. 2014
한국언어과학회 겨울학술대회, 129-131. 부경대학교. 2014년 2월 20일.
019) Jung, Y. J., Jung, C. K., Rhee, S.C. (2013, October). A corpus-based study of
English unaccusatives i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Paper presented at the 11th
Asia TEFL International Conference, 00-00.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hilippines,
26-28 October 2013). International.
018) Jung, C. K. (2013, October). Speaking item development using DIY corpora for
teachers. Paper presented at 2013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ALAK)
International Conference, 406-410.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4-5
October 2013)
017) Rhee, S. C., & Jung, C. K. (2013, September). Yonsei English Learner Corpus
(YELC) compilation, analysis, and findings. Poster presented at 2013 Learner
Corpus Research (LCR) Conference, 135-136. (Bergen, Norway. 27-29 September
2013) International.
016) Rhee, S. C., & Jung, C. K. (2013, July). Korean EFL learners’ error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of English: A case of Yonsei English Learner Corpus (YELC) 2012.
Paper presented at 2013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KATE)
International Conference, 251-252.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5-6
July 2013)
015) Rhee, S. C., & Jung, C. K. (2013, April). Common errors in Korean EFL learners’
texts. Paper presented at the 2nd Yonsei English Corpus Symposium. (Yonsei
University, Korea. 6 April 2013)
014) Jung, C. K. (2013, January). Use of ‘I’ in essays by Japanese EFL learners: Its
implications on ICLE-KR. Proceedings of 2013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Special Interest Group (KATE SIG) Conference, 89-94.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12 January 2013)
013) Kim, J. S., & Jung, C. K. (2012, October). Is CLAWS working well with the text written
by learners of English. Proceedings of 2012 Jungang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ssociation of Korea Annual Conference, 199-203.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26 October 2012)
012) Park, M. S., & Jung, C. K. (2012, October). Introduction of ICLE-KR project.
Proceedings of the 2012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113-116.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13 October 2012)
011) Jung, C. K. (2012, October).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and Primary
English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2012 Korea Association of Secondary English
Education (KASEE) Annual Conference, 107-112. (Kangwon University, Korea. 12
October 2012)
010) Rhee, S. C., & Jung, C. K. (2012, March). Yonsei English Learner Corpus (YELC).
Paper presented at the 1st Yonsei English Corpus Symposium, 25-36. (Yonsei
University, Korea. 31 March 2012)
009) Jung, C. K. (2012, January). Income/interest/net: Using internal criteria to determine
the aboutness of a text (Cheng 2009). The paper presented at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Special Interest Group (KATE SIG) Conference, 240-246.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7 January 2012)
008) Jung, C. K. (2011, November). Understanding undergraduate engineering laborarty
reports: A genre and corpus-based approach. Paper presented at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ALAK) Conference, Seoul, Korea. 12 November
2011.
007) Jung, C. K. (2011, February). Specificity in resources for EAP: Laboratory reports
from 11 specific engineering disciplines. Paper presented at Writing Research
Across Borders II Conference, Washington D.C., US, 17-20 February 2011.
International.
006) Jung, C. K. (2009, September). A helicopter view of the BAWE corpus: Locating a
specific genre from a collection of academic writings. Paper presented at British
Association for Applied Linguistics (BAAL) Conference, Newcastle, UK. 3-5
September 2009. International.
005) Jung, C. K. (2009, May). Understanding undergraduate engineering laboratory
reports: From academic contexts to professional contexts. Paper presented at
British Association for Applied Linguistic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minar,
Coventry, UK. 15-16 May 2009. International.
004) Jung, C. K. (2008, September). Occluded genre: Undergraduate engineering
laboratory reports. Paper presented at British Association for Applied Linguistics
(BAAL) Conference, Swansea, UK. 11-13 September 2008. International.
003) Jung, C. K. (2008, July). Academic writing as professional practice: Undergraduate
engineering laboratory reports. Paper presented at Writing and Professional
Practice Seminar, Milton Keynes, UK. 19 July 2008. International.
002) Jung, C. K. (2008, April). Maximising the impact of CALL technologies into an L2
writing classroom.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ATEFL) Conference, Exeter, UK. 7-11 April 2008.
International.
001) Jung, C. K. (2007, September). Effective use of CALL technology for L2 writing in
South Korea. Poster presented at European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EUROCALL) Conference, Coleraine, Northern Ireland. 5-8 September 2007.
International.
10. 국내 및 해외 초청 특강 및 워크숍
084) 정채관. (2023. 1월). 나의 영국 유학기와 공부법. 디지털새싹x국립인천대학교 학부모 문화
강좌. 국립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 이룸관 멀티플렉스룸. 2023년 1월 26일.
083) 정채관. (2023. 1월). 내 아이와 영어산책: 영잘알 부모의 슬기로운 영어 공부법. 디지털새싹
x국립인천대학교 학부모 문화강좌. 국립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 이룸관 멀티플렉스룸. 2023년
1월 12일.
082) 정채관. (2022. 12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교수대상 연구진실성 표준교안 소개.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2년 12월 23일.
081) 정채관. (2022. 11월). 디지털 전환시대, 교육의 변화(온라인 교육). 학부모공감토크.
인천광역시교육청. 오라카이송도파크호텔(릴리홀). 2022년 11월 21일.
080) 정채관. (2022. 9월). 한국연구재단 올바른 인용표기를 위한 길잡이 소개.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2년 9월 23일.
079) 정채관. (2022. 9월). Life is a journey, not a guided tour. 2022 Learn-Way 아카데미.
국립인천대학교 교육혁신원. 국립인천대학교 11호관 소극장. 2022년 9월 21일.
078) 정채관. (2022. 9월). 연구윤리 및 주제 탐구 보고서 작성법. 2022 교과특성화 특강.
인제고등학교. 인제고등학교 신관 글로벌 경제 통상실. 2022년 9월 14일.
077) 정채관. (2022. 6월). 연구윤리정보센터 연구윤리 질의응답.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2년 6월 24일.
076) 정채관. (2022. 3월).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와 관련된 동료심사의 윤리기준에 관한 연구
소개.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2년 3월 25일.
075) 정채관. (2022. 2월).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 소개. 2022 코퍼스 언어학 동계 워크숍.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온라인. 2022년 2월 26일.
074) 정채관. (2021. 9월). 교육부의 미성년 공저자 논문 등 관련 특별감사 결과 발표.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온라인. 2021년 9월 24일.
073) 정채관. (2021. 8월). 고졸 영어 검정고시 기출문제 해설 및 풀이 무료 특강. 인천광역시
서구 청소년지원센터(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온라인.
2021년 8월 9일.
072) 정채관, 정영옥, 김보민. (2021. 5월). 저자와의 간담회 겸 아동/중등 영어교육 세미나.
국립인천대학교 영어영재교육연구실,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21년 5월 22일.
071) 정채관, 김태국. (2021. 5월).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 팁과 노하우 특강.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온라인. 2021년 5월 15일.
070) 정채관. (2021. 3월). 교육부의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개정 후속 조치.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1년 3월 26일.
069) 정채관. (2021. 1월). AntConc를 활용한 영미 아동 문학 분석 연구. 2021 코퍼스 언어학
동계 워크숍.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온라인. 2021년 1월 15일.
068) 정채관. (2020. 10월). 워드스미스 소개. 2020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방법 추계
세미나: 워드스미스 툴스.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온라인. 2020년 10월 1일.
067) 정채관. (2020. 9월). 연구논문의 부당한 저자 표시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 특수관계인
(미성년자 또는 가족) 관련 연구윤리 권고사항.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0년 9월 25일.
066) 정채관. (2020. 8월). Writing research articles in English: A genre and corpus
approach. 국립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해운항만물류전문인력양성가업 초청
세미나. 온라인. 2020년 8월 17일. International.
065) 정채관. (2020. 8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 특강: 인문학을 응용한 콘텐츠 개발자.
인제고등학교. 2020년 8월 13일.
064) 정채관. (2020. 7월). 교사학습공동체 특강: 4차 산업혁명과 교사의 미래. 인제고등학교.
2020년 7월 29일.
063) 정채관. (2020. 6월). 공대생을 위한 영어 논문 작성법. 국립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온라인.
2020년 6월 22일.
062) 정채관. (2020. 5월). 코퍼스를 활용한 영어 강의 쉽게 하기와 비법 공유.
국립인천대학교 <인문예동>(교수동호회), 코퍼스연구소, 창의인성언어교육연구센터 교육
프로그램(제1회). 국립인천대학교 인문대학(15호관) 329호, 2020년 5월 8일.
061) 정채관. (2020. 3월).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한 교육부 지침 요약.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연구윤리 교육, 온라인. 2020년 3월 30일.
060) 정채관. (2019, 12월). 코퍼스 기반 INU 공대생을 위한 영어 논문쓰기.
공학교육혁신센터 워크숍. 인천대학교 인문대학(15호관) 220호, 2019년 12월 17일.
059) 정채관. (2019, 11월). 공무원시험(경찰, 법원, 일반행정) 준비반 영어 모의고사 특강.
인천대학교 법학과. 인천대학교 법학과 워크숍. 인천대학교 법과대학(13호관) 527호,
2019년 11월 21일.
058) 정채관. (2019, 10월). 공대생을 위한 성공적인 영문 초록 작성법. 인천대학교 Writing
Center 워크숍. 인천대학교 공과대학(8호관) 117호, 2019년 10월 10일.
057) 정채관. (2019, 10월). 해외 학습자 코퍼스 사례 연구: 웁살라 영어 학습자 코퍼스.
국립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다국어 학습자 코퍼스 개발 세미나. 인천대학교 인문대학
(15호관) 405호, 2019년 10월 29일.
056) 정채관. (2019. 10월). 영어 원어민 코퍼스와 영어 학습자 코퍼스.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다국어 학습자 코퍼스 개발 세미나. 인천대학교 인문대학(15호관) 317호, 2019년 10월 7일.
055) 정채관 (2019, 1월). 2019 한국영어학회 동계 코퍼스 워크숍(2차).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1동
203호, 2019년 1월 18일.
054) 정채관 (2019, 1월). 2019 한국영어학회 동계 코퍼스 워크숍(1차).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1동
203호, 2019년 1월 17일.
053) 정채관 (2019, 1월). 디지털 인문학: 코퍼스 워크숍 II. 연세대학교 BK사업단. 2019년 1월
17일.
052) 정채관 (2019, 1월). 디지털 인문학: 코퍼스 워크숍 I. 연세대학교 BK사업단. 2019년 1월
16일.
051) 정채관(2018, 8월). 4차 산업혁명 시대 영어교사의 역할. 2018년도 중등 영어 1급 정교사
자격연수. 대전교육연수원, 2018년 8월 1일.
050) 정채관(2018, 5월). 우리 딸 영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 영어 전문가들의 팁.
서울교육대학교 연구강의동 사향문화관, 2018년 5월27일).
049) 정채관(2018, 5월). 북한 영어교육 정책변화, 2013 영어과 교육강령 분석 및 통일대비
교육협력 방안.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2018년 5월 9일).
048) 정채관(2018, 4월). 북한 청년층의 영어에 대한 관심과 북한 영어교육 열풍. 숙명여대
정치외교학과 <생활속의 북한알기> 특별강의. (숙명여자대학교 순헌관 5층 중강당 511호,
2018년 4월 11일).
047) 정채관(2018, 3월). 남북한 영어 교과서 비교 연구. 남북한 학교 교육과정 비교 연구
특별강의. (북한대학원대학교 2018년 3월 14일).
046) 정채관(2018, 3월). 남북한 영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남북한 학교 교육과정 비교 연구
특별 강의. (북한대학원대학교2018년 3월 13일).
045) Jung, C. K. (2017, December).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의
이론과 실제. 서강대학교 영미어문학과 CORE 장학생 세미나. (서강대학교 정하상관 608호,
2017년 12월 29일).
044) Jung, C. K. (2017, October). 4차 산업혁명과 영어교육: 중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방향.
2017 중등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영어교육 역량 강화 직무연수. Invited talk
organized by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2017년 8월 14일.
043) Jung, C. K. (2017, August). 수능영어절대평가제에 따른 영어 교과목의 PBL 운영. Invited
talk organized by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2017년 8월 14일.
042) Jung, C. K. (2017, August). 빅데이터 분석. Invited talk organized by 서울교육대학교
창의인성교육센터. 2017년 8월 10일.
041) Jung, C. K. (2017, July).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nglish Language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영어교육의 방향: 중등 영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Invited talk organized by 충청남도교육연수원, 2017 중등 영어
1급 정교사 자격연수, 28 July 2017.
040) Jung, C. K. (2017, Jun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nvited talk organized b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29 June 2017.
039) Jung, C. K. (2017, May).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nglish Textbooks in Korea.
Invited discussion organiz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1
May 2017.
038) Jung, C. K. (2017, March). Corpus Compilation at the Primary School Level in
Korea. Invited discussion organized by Office of Planning and International Affair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March 2017.
037) Jung, C. K. (2017, February). ‘A Discourse-Level Analysis of the Use of Past
Followed by a Temporal Noun’. Invited discussion organized by Language and
Information Institute, Sogang University. 3 February 2017.
036) Jung, C. K. (2016, October). Wordlists in 2015 National Curriculum (English):
Derivation and Inflection. Invited talk organized by Department of English,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October 2016.
035) Jung, C. K. (2016, October). Introduction to Research Ethics. Invited talk organiz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KASELL), Kwangwoon University, 15 October 2016.
034) Jung, C. K. (2016, May). DIY Corpus Compilation and Analysis. 2016 Institut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FLE) Conferenc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 May 2016).
033) Jung, C. K. (2016, March). Corpus and Computational Linguistics. Invited talk
organized by Department of English, Sogang University. Room 614, Jeong Hasang
Hall, 18 March 2016.
032) Jung, C. K. (2015, May). Successful English abstract writi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영어전공실 워크숍.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영어전공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회의실. 21 Many 2015.
031) Jung, C. K. (2015, May). 2015 한국응용언어학회 코퍼스 아카데미 워크숍: Corpus &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한국응용언어학회 &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3동 312호). 16
May 2015.
030) Jung, C. K. (2015, May). 2015 한국응용언어학회 코퍼스 아카데미 워크숍: Corpus &
English Education.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한국응용언어학회 &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3동 312호). 9 May 2015.
029) Jung, C. K. (2015, May). 2015 한국응용언어학회 코퍼스 아카데미 워크숍: Corpus &
English Literature.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한국응용언어학회 &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3동 312호). 2 May 2015.
028) Jung, C. K. (2015, April). 2015 한국응용언어학회 코퍼스 아카데미 워크숍: Vocabulary
(Lex Tutor).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한국응용언어학회 &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3동 312호). 18 April 2015.
027) Jung, C. K. (2015, April). 2015 한국응용언어학회 코퍼스 아카데미 워크숍: World
English (COCA, BNC).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한국응용언어학회 &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3동 312호). 11 April 2015.
026) Jung, C. K. (2015, March). 2015 한국응용언어학회 제2언어교육 연구방법론 워크숍:
코퍼스. Invited talk organized by 한국응용언어학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애경홀. 28 March
2015.
025) Jung, C. K. (2014, June). 평가혁신(영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문항의 출제 및
평가 기준 작성 방법). Invited talk organized by 분당중앙고등학교. 2층 인문학실. 16
June 2014.
024) Jung, C. K. (2014, April). Discussant(토론자). “Data mining with L2 learner
performance data” by Professor Yukio Tono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omplex Knowledge and Language Education session, 제3회 연세대학교 인문학
국제학술대회(Humanities and Communities: Writing, Language, Public Sphere
인문학과 사회공동체: 문자, 언어, 공공성).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장기원기념과 7층 국제
회의실. 주최: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주관: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참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국학연구원, 24 Arpil 2014.
023) Jung, C. K. (2013, December). 의사소통 중심의 수행평가용 영어 말하기 문항 출제
및 채점.Invited talk organized by 경기도 외국어교육연수원. 경기도 외국어 교육연수원
Challenge Hall. 12 December 2013.
022) Jung, C. K. (2013, November). 영어과 교육과정 특강: 코퍼스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개발. Invited talk organized by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중앙대학교
서라벌관 302호. 28 November 2013.
021) Jung, C. K. (2013, November). 학습자 코퍼스의 이론과 실제. Invited talk organized by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정보연구소. 서울대학교 인문관 3동 313호. 11 November
2013.
020) Jung, C. K. (2013, August).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말하기/쓰기 전문교사 양성 연수:
내 교실에 꼭 맞는 수업 및 평가 디자인. Invited talk organized by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3 August 2013.
019) Jung, C. K. (2013, July).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말하기/쓰기 전문교사 양성 연수:
내 교실에 꼭 맞는 수업 및 평가 디자인. Invited talk organized by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6-27 July 2013.
018) Jung, C. K. (2013, February). NEAT 출제경향 및 채점기준 분석을 통한 수업 방법 개선
세미나. Invited talk organized by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영어교과연구회. 인천
부개여자고등학교. 4 February 2013.
017) Jung, C. K. (2013, January). Speaking in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nvited
workshop organizaed by Korea Association of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KAMALL), Chung-ang University, Korea. 26 January 2013 (pp. 52-66).
016) Jung, C. K. (2012, November). Speaking in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nvited talk organized by NEAT 교사연구회, 성사고등학교. 28 November 2012.
015) Jung, C. K. (2012, November).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DIY corpora, and
strategic use of concordancers. Invited talk organized by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KEES), Hannam University, Korea. 17 November 2012.
014) Jung, C. K. (2012, November). Speaking in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nvited talk organized by 울산 NEAT 교사연구회, 문현고등학교. 17 November 2012.
013) Jung, C. K. (2012, February). Writing Successful Abstracts. Invited talk organized by
Yonsei University, Korea, 22 February 2012.
012) Jung, C. K. (2012, January) How to teach corpus linguistics to graduate students.
Invited talk organized by Corpus Linguistics Study Group, B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January 2012.
011) Jung, C. K. (2011, November). Writing successful abstracts: A genre and corpus
approach. Invited talk organized b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24
November 2011.
010) Jung, C. K. (2011, September- 2012, January). Technical Writing for Computer & IT
Students .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jou
University.
009) Jung, C. K. (2011, August). A Special Corpus Practicum for Yonsei University
Students.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Yonsei University, Korea. 16-25 August
2011.
008) Jung, C. K., & Ha, M. J (2011, August). Getting to grips with corpus and corpus
software.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ALAK), Korea. 19 August 2011.
007) Jung, C. K. (2011, June). English-medium modules by international facult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erceptions of Korean students. Invited talk organiz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Korea. 3 June 2011.
006) Jung, C. K. (2011, May). Abstracts and the writing of successful abstracts. Invited
workshop organis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Korea. 23 May 2011.
005) Jung, C. K. (2011, May). English for academic discussions. Invited workshop
organiz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Korea. 16 May 2011.
004) Jung, C. K., & Park, J. D. (2011, May). Moodle tutorial. Invited workshop organised
by Society of e-Learning Conference, Seoul, Korea.
003) Jung, C. K. (2011, February). Smart education: Strategic use of Moodle forums.
Invited talk organized by Korea Moodle Association, Korea. 25 February 2011.
002) Jung, C. K. (2008, September). Effective Website Management: Enhancing Your
Website with Better Titles. Invited talk organized by Kyungil University, Korea. 29
September 2008.
001) Jung, C. K. (2008, July). Effective online tutoring for Korean teachers and
academics. 2-day workshop organized by Pai Chai University, Korea. 28-29 July
2008.
음수사원(飮水思源)
“물을 마실 때 그 물이 어디에서 왔는지 생각하라"
11. 국내 및 해외 주요 석박사학위 논문 지도 경력
022) Kory Lauzon. (WIP).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인천.
021) 안효빈. (2021). 한국영어학습자구어코퍼스 기반 어휘 묶음 사용 양상 분석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인천.
020) 노은옥. (2020). 코퍼스에 기반한 동화텍스트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인천.
019) 정윤나. (2018). 남북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어휘 특성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우수논문상 수상.
018) 박현숙. (2018). Coh-Metrix(코메트릭스)를 이용한 2009/2015개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 자료의 언어적 연계성 분석 - 영어, 실용영어 I, 영어 I, 영어 독해와 작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017) 안혜정. (2018). 우리나라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016) 강민아. (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영어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015) 이효선. (2017). 남북한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014) 김서용. (2016).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 변화형 연구: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013) Crafer, A. (2015). Hanja’s place in South Korea: An investigation of attitudes towards
the South Korean digraph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12) 이승희. (2014). 코퍼스 기반 한국 예비 대학생의 고빈도 동사 의미 갈래 및 오류분석: 동사
Make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011) Whitehead, G. (2014). High-stakes testing washback: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prespectives on the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10) Butterfield, A. (2013). "Feels like chatting with teacher": Improving Korean young
learners' attitudes and writing fluency through dialogue journ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09) O'Donoghue, J. (2012). Corpus pedagogy analysing corpus use in the classroom
and EFL student attitudes towards corpus 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08) Ly, T. H. (2012). Student reactions to teacher written feedback in secondary EFL
writing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07) Beaty, C. (2012). A study of the dialogic features of Chinese students' IELTS wri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06) Yang, H. S. (2011).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istic features and
the function of the text: A translation from English into Kore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International.
005) Li, D. (2006). Methods for measuring complexity in manufacturing syst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International.
004) Thanavaravit, R. (2006). The current mass customisation practice: Jewellery industry
in Thail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International.
003) Jeong, J. I. (2005). Mass customisation: A new paradigm in supply chain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International.002) Opoku, E. (2005). Business process monitoring at Bookham Techn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International.
001) Ogunmodede, A. (2005). Improvement of customer response time at Bookham
Techn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International.
12. 국내 및 해외 주요 박사학위 논문 심사 경력
011) Schenck, A. (2021). Examining the Impact of Form-Focused Instruction on L2 Acquisition
of Diverse Grammatical Features of English.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인천.
010) 주현하. (2020). 학위 논문 서론 쓰기 지침서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009) 안기정. (2020).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막힘 양상과 개선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008) 장지영. (2020). 학문목적 한국어학습자의 발표능력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경영학 전공
발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007) Toktarova, Z. (2020).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정 혁신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006) 진송수. (2020). 중도 입국 대상 학교 적응 지원 한국어 어휘 교수 설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005) 강현숙. (2020). 친밀감이 한국인 아동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인천.
004) 주성재. (2019).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자료기반학습의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003) 노윤오. (2019).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어휘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인천.
002) 김태국. (2017).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텍스트 포괄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인천.
001) Liu, Y. (2017). A Copus-based Study on the Preferences for English Prenominal
Adjective Order by Korean and Chinese EFL Learn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국내 및 해외 주요 언론 인터뷰 및 방송 패널 출연
.
<방송보기 1: KBS 뉴스 7 / 방송보기 2: KBS 뉴스광장>
023) 정채관(2021.03.23). 인천대 정채관 교수 · 현성필 영어영문학과 학생,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경인매일.
022) 정채관(2021.03.23). 인천대 영어영문학과 정채관 교수 제자와 '컴퓨터 보조 번역' 책 발간.
기호일보.
021) 정채관(2021.03.22). 인천대 정채관 교수현성필 학생, 새로운 컴퓨터 보조 번역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이뉴스투데이.
020) 정채관(2021.03.22). 인천대 컴퓨터 보조 번역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브릿지경제.
![]()
019) 정채관(2021.03.22). 인천대,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한국대학신문.
018) 정채관(2021.03.22). 인천대,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출간. 천지일보.
017) 정채관(2021.03.22). 인천대 정채관 교수·현성필 영어영문학과 학생,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경기eTV뉴스.
016) 정채관(2021.03.22). 인천대 정채관 교수·현성필 영어영문학과 학생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일간투데이.
015) 정채관(2021.03.22). 인천대 정채관 교수 · 현성필 영어영문학과 학생, 컴퓨터 보조 번역 :
입문 출간. 서울일보.
014) 정채관(2021.03.22). 인천대 정채관 교수 · 현성필 영어영문학과 학생, 『한 눈에 들어오는
컴퓨터 보조 번역 : SDL Trados Studio 입문』 출간. 오늘뉴스.
013) 정채관(2020.11.05). 김정은 시대의 북한의 고등교육과정 정책 변화와 대학 영어.
인천뉴스.
012) 정채관(2020.02.11). 남북한 영어교육 연구: 북한의 영어 정책 변화와 최근 동향.
NEW교육정보신문.
011) 정채관(2019.09.24). 당신의 영어는 안녕하신가요? 2부 - 글로벌 시대, 살아남는 영어.
010) 정채관(2019.09.17). 당신의 영어는 안녕하신가요? 1부 - AI 번역기 시대 영어 공부
009) 정채관(2018.05.23). [북한교육②] 北도 사교육 시장 있다.."악기·영어·수학과외 인기".
008) 정채관(2018.05.14). "北고교에 원어민 교사"…회담 앞두고 김정은 영어교육 주목.
007) 정채관(2018.05.09). 우상화 벗어나 세계화 추구..달라지는 北 교육체계. 뉴스핌.
006) 정채관(2018.03.24). [S 스토리] 실시간 통역 '척척'… 외국어 울렁증 '뚝'. 세계일보.
005) 정채관(2016.08.08). 탈북 학생 "영어 포기"… 일상생활도 어려워. KBS News.
004) 정채관(2016.01.07). 북한 영어교육 상황. NK News.
003) 정채관(2014.12.15). "탈북청소년 문제를 보면 통일 후 우리 교육현장의 문제가 보인다".
002) 정채관(2014.01.22). 한글로 배우는 영어. JTBC 생활백과.
001) 정채관(2013.07.18). 한국인과 영어. EBS 다큐프라임.
14. 국내 및 해외 주요 언론 칼럼
071) 정채관(2022.04.27). 인공지능으로 영어 완전정보. 정경조선.
![]()
070) 정채관(2022.04.22).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방향은? 정경조선.![]()
069) 정채관(2022.04.14). 영국의 우크라이나 미사일 지원, 우리는? 정경조선.![]()
068) 정채관(2022.04.07). 네이버, 인천이 그리 만만한가? 정경조선.![]()
067) 정채관(2022.04.01). 교육부를 없애자는 분들께. 정경조선.![]()
066) 정채관(2022.03.25). 친절한 AI 영어 선생님. 정경조선.![]()
065) 정채관(2022.03.11). 脫원전 정상화는 원전 인력의 영어 교육부터. 정경조선.![]()
064) 정채관(2022.01.25). 성적이 조금 나빠도 괜찮아, 학생부 종합 전형이 있잖아. 정경조선.
063) 정채관(2021.11.22). 영어를 못 해야 우리나라가 산다고?! 정경조선.
062) 정채관(2021.08.28). 오세훈표 교육플랫폼 '서울런'을 조심스럽게 바라보며. 정경조선.
061) 정채관(2021.07.27). 수능 굿바이, 제발~. 정경조선.
060) 정채관(2021.06.25). "아이의 창의력 키워주고 싶다면, '뻔한 동화' 다시 읽기 해보세요".정경조선.
059) 정채관(2021.06.03). 교육의 신발 끈 조이는 영국 vs. 교육의 신발 끈 풀린 한국. 정경조선.
058) 정채관(2021.05.28). 우리들의 영국 유학기. 정경조선.![]()
056) 정채관(2021.05.14). 우리나라에서 영국 현지 학교 수업 온라인으로 수강하기.
매일경제.
055) 정채관(2020.11.17).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입학지원서 준비하기(2) 매일경제.
054) 정채관(2020.11.12).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입학지원서 준비하기(1) 매일경제.
053) 정채관(2020.11.09). 영어 배우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 때. 매일경제.
052) 정채관(2020.10.28). 학생들 이력서 봐주기. 매일경제.
051) 정채관(2020.07.07). 나의 영국 유학기(2).매일경제.
050) 정채관(2020.06.30). 나의 영국 유학기(1). 매일경제.
049) 정채관(2020.06.09). 영어포기자가 된 것이 학생의 책임일까? 매일경제.
048) 정채관(2020.05.06). 우리가 영어를 자꾸 틀리는 이유가 뭘까? 매일경제.
![]()
047) 정채관(2020.04.27).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영어 선행학습 실태 연구.
매일경제.
046) 정채관(2020.03.17). 영어를 배워놓길 잘했다는 생각이 더 들 때. 매일경제.
045) 정채관(2019.12.18). 우리나라에 살면서 자녀들의 영어 실력 유지하기. 매일경제.
044) 정채관(2019.12.02). '불가사리' 같은 구글 AI... 대학혁신지원사업을 마치며. 매일경제.
043) 정채관(2019.11.26). 교육의 무서움... 영화 「네버 렛 미 고」를 보고. 매일경제.
042) 정채관(2019.11.08). 어색했던 내 영어, 어색한 외국인의 한국어. 매일경제.
041) 정채관(2019.11.05). 정시 확대하면 생길 일. 매일경제.
040) 정채관(2019.09.18). 방송에 안 나온 이야기, 못다 한 이야기. 매일경제.
![]()
039) 정채관(2018.05.14.). 북한은 북미회담을 이미 5년 전에 계획했다?
조선뉴스프레스.
038) 정채관(2018.01.29.).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복심과 키워드. 조선뉴스프레스.
037) 정채관(2017.08.03.). 영어 선생님 vs. 영어 교육용 인공지능.. 승자는? 조선뉴스프레스.
036) 정채관(2017.06.14.). 내가 고통스러워도 논문을 쓰는 이유는? 조선뉴스프레스.
035) 정채관(2017.06.08.). 24년 전 시작한 수능이라는 ‘괴물’, 이제는 사라져야 할 시간.
조선뉴스프레스.
034) 정채관(2017.05.24.). 번역기가 있는 데 영어를 굳이 배워야 하나? 조선뉴스프레스.
033) 정채관(2017.04.18.). 내가 영국시민권을 신청하지 않은 이유. 조선뉴스프레스.
032) 정채관(2017.02.14.). 4차 산업혁명과 영어교육... 영어 가르치는 인터넷 클라우드 기반의
인공지능 로봇. 조선뉴스프레스.
031) 정채관(2016.12.23.). 미안은 한데, 책임은 안 져. '실수’' 영어 'mistake'와 'error'의
차이는? 조선뉴스프레스.
030) 정채관(2016.09.21.). 사람과 자전거... 선진국 공원의 경우. 조선뉴스프레스.
029) 정채관(2016.08.29.). 영어 수업을 하며 영어 원어민 강사를 3번이나 교체한 이유는?
조선뉴스프레스.
![]()
028) 정채관(2016.07.07.). '완장'과 권위- 영국과 한국을 비교해보니... 조선뉴스프레스.
027) 정채관(2016.07.01.). 인공지능 번역기가 나오면 영어를 하지 않아도 될까?
조선뉴스프레스.
026) 정채관(2016.06.17.). 영어박사가 체험한 단기간에 영어를 확 늘리는 비법.
조선뉴스프레스.
025) 정채관(2016.05.25.). 나라를 세우고 지키는 데 목숨 걸 가치가 있을까?
조선뉴스프레스.
024) 정채관(2016.05.16.).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는 영어실력... 기름칠 하는 방법은?
조선뉴스프레스.
023) 정채관(2016.05.09.). 北김정은, 고교에서 국어보다 많이 가르치게 한 과목은?
조선뉴스프레스.
022) 정채관(2016.04.27.). 70년 검정고시, 국회의원까지 배출... 통일에 대비하려면?
조선뉴스프레스.
021) 정채관(2016.03.08.). 영국에서 겪었던 암행 순찰차. 조선뉴스프레스.
020) 정채관(2016.02.18.). 흡연보행도 음주운전처럼 단속을 해야 하는 이유는?
조선뉴스프레스.
019) 정채관(2015.12.30.). 서울대 A+의 조건과 직장에서의 근무평정의 유사점은?
조선뉴스프레스.
018) 정채관(2015.12.16.).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시대, 가르칠 것이 아니라 쌓게 해야 하는 것은...
조선뉴스프레스.
017) 정채관(2015.09.21.). 탈북자도 남한에서 살려면 토익 시험을 봐야 한다?
조선뉴스프레스.
016) 정채관(2015.09.03.). 난생 처음 북한 사람을 보다! 조선뉴스프레스.
015) 정채관(2015.08.03.). 지금 갖고 있는 영어능력을 유지하려면? 조선뉴스프레스.
014) 정채관(2015.07.13.). 옥스퍼드 대학에서 10,000보(步) 걷기. 조선뉴스프레스.
013) 정채관(2015.06.16.). 어떤 영국인 할머니가 툭 던진 말. 조선뉴스프레스.
012) 정채관(2015.05.19.). '부정적' 시각과 '비평적' 시각은 다르다. 조선뉴스프레스.
011) 정채관(2014.11.19.). 영어는 실수와 오류를 저질러야 는다. 조선뉴스프레스.
010) 정채관(2014.07.16.). '유학(留學)'은 외롭고 어렵다. 조선뉴스프레스.
009) 정채관(2014.07.08.). 영국의 힘: 인도(人道)로는 사람만 다닌다. 조선뉴스프레스.
008) 정채관(2014.06.30.). 영국의 힘은 바로 진지한 소통이다. 조선뉴스프레스.
007) 정채관(2014.06.23.). 영국의 힘: 사자는 새끼를 강하게 키운다. 조선뉴스프레스.
006) 정채관(2014.06.11.). 영국 학생들 왕래 많은 곳에 설치된 것은? 조선뉴스프레스.
005) 정채관(2014.05.13.). 아웅산 수지 여사가 세상의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
조선뉴스프레스.
004) 정채관(2014.04.29.). 영국의 힘: 원칙에 충실하다. 조선뉴스프레스.
003) 정채관(2014.01.22.). 영어는 유지하는 게 더 어렵다. 조선뉴스프레스.
002) 정채관(2013.11.26.). 영국 교육시스템의 비밀, 튜터링(tutoring) 제도. 조선뉴스프레스.
001) 정채관(2013.11.17.). 우리나라 사람에게 영어란 무엇일까? 조선뉴스프레스.
*기타 내용은 www.ckjung.org를 참고.